항목 ID | GC08701500 |
---|---|
한자 | 李永道 |
영어공식명칭 | Lee Young Do |
이칭/별칭 | 정운(丁芸)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순욱 |
출생 시기/일시 | 1916년 10월 22일 - 이영도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946년 - 이영도 『죽순』에 「제야」 발표 |
활동 시기/일시 | 1954년 - 이영도 『청저집』 발간 |
활동 시기/일시 | 1958년 - 이영도 수필집 『춘근집』 발간 |
활동 시기/일시 | 1966년 - 이영도 수필집 『비둘기 내리는 뜨락』 발간 |
활동 시기/일시 | 1968년 - 이영도 『석류』 발간 |
활동 시기/일시 | 1971년 - 이영도 수필집 『머나먼 사념의 길목』 발간 |
활동 시기/일시 | 1986년 - 이영도 수필집 『그리운 이 있어 내 마음 밝아라』 발간 |
활동 시기/일시 | 1986년 - 이영도 수필집 『인생의 길목에서』 발간 |
활동 시기/일시 | 1966년 - 이영도 눌원문학상 수상 |
몰년 시기/일시 | 1976년 3월 6일 - 이영도 사망 |
출생지 | 청도 - 경상북도 청도군 대성면 내호동 259번지 |
학교|수학지 | 밀양공립보통학교[현 밀양초등학교] - 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282-12[삼문동 3-5] |
학교|수학지 | 대구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288[남산동 714-2] |
활동지 | 통영여자중학교 - 경상남도 통영시 도리1길 45[도천동 341-1] |
활동지 | 남성여자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샘길 14[대청동1가 10] |
활동지 | 성지여자고등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완월남로 20[완월동 206-1] |
활동지 | 부산여자대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진남로 506[양정동 74-161] |
활동지 |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흑석동 221] |
성격 | 시인|수필가 |
성별 | 여자 |
대표 경력 | 한국시조작가협회 부회장 |
[정의]
경상남도 밀양에서 수학한 시조 시인이자 수필가.
[활동 사항]
이영도(李永道)[1916~1976]의 호는 정운(丁芸)이다. 1916년 10월 22일 경상북도 청도군 대성면 내호동에서 선산군수를 지낸 아버지 이종수와 어머니 구봉래 사이의 1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이영도의 오빠는 시조시인 이호우이다.
이영도는 밀양공립보통학교[현 밀양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대구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였다. 1946년 동인지 『죽순』 제1집에 「제야(除夜)」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문학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영도는 1946년 통영여자중학교에서 교편을 잡기 시작하여 부산 남성여자고등학교와 성지여자고등학교를 거쳤다. 부산여자대학교와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강사를 맡아 후학을 양성하였다. 1963년 부산어린이집 관장을 역임하며 어머니 시조 모임인 ‘꽃무리회’를 조직하였다. 그 밖에도 이영도는 한국시조작가협회 부회장, 한국여류문학인회 부회장, 부산아동회관 관장을 지냈다.
이영도는 1976년 3월 6일 서울 서교동 자택에서 뇌일혈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이영도의 시집으로는 『청저집(靑苧集)』[1954]과 『석류』[1968]가 있다. 수필집으로는 『춘근집(春芹集)』[1958], 『비둘기 내리는 뜨락』[1966], 『머나먼 사념의 길목』[1971]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이영도는 1966년 ‘눌원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시인을 기리기 위하여 정운시조문학상이 제정된 바 있다. 경상북도 청도군에서는 ‘이호우·이영도 시조 문학제’와 ‘이호우·이영도 시조 문학상’을 제정하여 수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