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0617
한자 强制動員
영어공식명칭 Forced Labor
이칭/별칭 강제징용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고나은

[정의]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서 일어난 강제 인력 수탈.

[개설]

일제는 1937년 중일전쟁과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일어난 아시아 태평양 전쟁기를 거치면서 전쟁 수행을 위한 인적·물적·정신적·문화적 자원의 총동원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총동원 정책은 조선을 비롯한 남사할린, 대만, 만주, 그 밖의 점령지 등 제국 일본의 영역에 포함된 다양한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조선에서의 본격적인 강제동원은 1938년 4월 1일 「국가총동원법」을 공포한 이후 시작되었다. 1939년부터 강제 모집, 관 알선, 근로보국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선인을 강제 동원하였으며, 이러한 강제동원은 노동력을 강제 동원하는 노무 동원, 지원병·학도병·징병 등의 병력 동원, 일본군 위안부 등의 성 동원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강제동원에 의한 피해는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특별법」 상의 ‘특별법 제2조 제1항’에서 ‘일제에 의하여 강제동원되어 군인·군무원·노무자·위안부 등의 생활을 강요당한 자가 입은 생명·신체·재산 등의 피해’로 규정하고 있다. 2004년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회청원자료」에 의하면 일제에 강제동원된 총인원은 약 780만 여 명에 이르며 한반도 내의 인원만 하더라도 약 650만여 명에 이른다.

[밀양에서의 강제동원]

국가기록원에서는 강제동원자 명부를 소장, 공개하고 있는데 현재 약 118만 명의 명부를 조회할 수 있다. 「유수명부」·「구해군군속신상조사표」 등의 군인·군속 명부와 「조선인노동자에 관한 조사결과」·「소위 조선인징용자에 관한 명부」 등의 노동자 명부, 「일정시 피징용자명부」, 「남양행노동자명부철」 등에 기재된 강제동원자 중 경상남도 밀양을 본적지로 하고 있는 조선인 강제동원자는 약 7,000건에 이른다.

밀양 출신의 수많은 조선인들이 노무 동원, 병력 동원, 성 동원 등 본인의 의사에 반하는 다양한 방식의 육체적·정신적 강제동원 피해를 입었음을 알 수 있다. 일례로 태평양 전쟁에 강제로 동원되었다가 포로로 붙잡혔던 조선인 명부가 2021년 공개되었는데, 명부를 통하여 확인한 밀양 출신의 조선인 포로는 총 14명[조선인 포로 총 2,445명 중 경남 지역 피해자 131명]이다. 태평양 전쟁 말기 일본 나가노현 마츠시로 지하 벙커 강제 노역에 동원된 조선인 총 2,600명의 명부도 발견되었는데, 피해자의 70%가 밀양, 창녕, 합천 등 경상도 출신으로 파악되었다. 학도병으로 강제 징집된 경남 출신의 조선인도 수백 명에 이른다. 밀양 출신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역시 다수 존재하였다.

2013년에는 1925년 밀양에서 출생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박옥선 할머니의 삶을 소재로 한 독립영화 등이 촬영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