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701441 |
---|---|
한자 | 守山-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조천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병익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4년 - 「수산바위」 밀양문화원에서 발행한 『밀양지명고』에 수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9년 12월 30일 - 「수산바위」 밀양시에서 발행한 『밀양설화집』1에 수록 |
관련 지명 | 수산바위 -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조천리
![]() |
성격 | 전설|지명 유래담 |
주요 등장 인물 | 마을 주민 |
모티프 유형 | 이름이 가진 힘 |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조천리에 있는 바위 이름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수산바위」는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조천리에 있는 수산바위에 얽혀 있는 지명 유래담이다. 본래는 ‘화산바위[火山岩]’라고 불렀는데, 불이 많이 나서 ‘수산바위’라고 바꾸어 불렀다는 이야기이다.
「수산바위」의 구체적인 채록 상황은 알 수 없다. 1994년 밀양문화원에서 발행한 『밀양지명고』에 수록되었고, 이후 2009년 12월 30일 밀양시에서 발행한 『밀양설화집』 1권에 다시 수록되었다.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조천리 남쪽의 산 정상부에 바위가 있다. 처음에는 ‘화산바위’라고 불렀는데, 마을에 불이 하도 많이 나서 마을 사람들이 화산바위를 ‘수산바위[水山岩]’라고 고쳐 불렀다고 한다. 또 마을 주민들이 바위가 있는 산의 일부분을 사서 나무를 심고 흙을 메워서 바위가 보이지 않게 가렸다고 한다.
「수산바위」의 주요 모티프는 ‘이름이 가진 힘’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로부터 동식물이나 사물 등에 붙은 이름에는 이름과 관련된 힘이 있다고 믿었다. 마을에 불이 많이 나는 이유를 바위 이름에 불 ‘화(火)’ 자가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 것도 이러한 믿음에서 연유한다. 바위의 이름에 물 ‘수(水)’ 자를 넣고, 바위 주변에 나무를 심고 흙을 메웠다는 이야기는 불의 힘을 억누르면 불이 나지 않을 것이라는 주술적 믿음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