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701430 |
---|---|
한자 | 福- |
이칭/별칭 | 「복바위 전설」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동산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훈식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83년 9월 8일 - 「복바위」 밀양군에서 발행한 『미리벌의 얼』에 「복바위 전설」이라는 제목으로 수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9년 12월 30일 - 「복바위」 『밀양설화집』 1권에 수록 |
관련 지명 | 복바위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동산리 |
성격 | 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세 자매 |
모티프 유형 | 화석 |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동산리에 전하여 오는 복바위에 관한 이야기.
[개설]
「복바위」는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동산리 마을 한가운데에 있는 복바위에 관한 유래담이다. 복바위에는 가난한 세 자매가 스스로 목숨을 끊어 마을의 풍요와 안녕을 비는 바위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채록/수집 상황]
「복바위」는 1983년 밀양군에서 펴낸 『미리벌의 얼』에 「복바위 전설」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9년 밀양시에서 발행한 『밀양설화집』 1권에 다시 수록되었다.
[내용]
「복바위」는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동산리에 있는 세 바위의 유래에 관한 이야기이다. 동산리에 끼니를 잇지 못할 정도로 가난한 한 집이 있었다. 이 집에는 세 자매가 있었는데, 행실이 좋고 미색이 뛰어나 혼기가 차자 부잣집에서 청혼이 들어왔다. 세 자매는 같이 살기로 굳게 약속하고 청혼을 모두 거절하였으나, 부모의 설득과 신랑 집의 끈질긴 구혼에 못 이겨 시집을 갔다. 그러나 모두 한 달도 못 살고 친정으로 돌아왔다. 원래 가난한 집안인 데다 흉년까지 들어 세 자매는 굶기를 밥먹듯이 하였다. 세 자매는 결국 가난 때문에 헤어질 바에는 차라리 죽어 마을의 풍요와 안녕을 빌어 주자며 모두 한날한시에 목숨을 끊어 버렸다. 석 달 뒤 세 자매는 모두 마을에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는 바위가 되고, 마을은 살기 좋은 고장이 되었다.
[모티프 분석]
「복바위」의 주요 모티프는 사람이 돌로 변한다는 화석(化石) 모티프이다. 화석 모티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설화에는 바다로 나간 남편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다 돌이 된 망부석 이야기 등 대개 비극적인 이야기가 많은데, 「복바위」는 세 자매의 죽음으로 마을에 복이 왔다는 점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