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의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1389
한자 出産 儀禮
영어공식명칭 Birth Rites
이칭/별칭 출생 의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경숙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에서 아이의 잉태와 출산 등의 과정에서 행하는 일련의 통과의례.

[개설]

경상남도 밀양 지역의 출산 의례는 자식의 점지를 바라는 기자 의례, 무탈하게 해산할 수 있기를 기원하는 해산 의례, 해산 후 아이와 산모를 보호하는 삼칠 의례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기자 의례와 해산 의례에서는 주술 의례가 주를 이룬다. 기자 의례의 경우 아들을 잉태하고자 남근을 상징하는 도끼 형상의 노리개를 차거나 다산한 산모의 속옷을 가져와 입는 등 접촉 주술이 주를 이룬다. 해산 의례의 경우 산모가 무사히 아이를 출산하기 위하여 남편이 지붕에 올라 소변을 보거나 장롱 문과 서랍을 모두 열어 두는 등 유사 주술이 주를 이룬다.

[밀양 지역의 출산 의례]

전통사회에서 출산 의례는 아이의 잉태와 양육을 관장하는 삼신신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형성·전승되어 왔다. 가정에 따라서는 삼신 신체를 안방에 모시고 평소에도 정성을 드리는 가정도 있으나, 대부분은 출산할 때 삼신을 모시고 정성을 드린다. 밀양 지역에서는 삼신을 달리 ‘삼신할매’, ‘제왕할매’라고도 칭하며, 가신(家神)으로 늘 모시는 삼신을 ‘앉은 삼신’, 출산 때 임시로 모시는 삼신을 ‘뜬 삼신’이라고 칭한다. 과거에는 집마다 앉은 삼신을 모시는 경우가 흔하였는데, 근래에는 삼신을 항시적으로 모시는 일은 드물고 출산할 때만 임시로 삼신을 모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출산 의례에서 가장 중요한 의례는 출산 후 행하는 삼칠 의례다. 삼칠 의례는 7일 단위로 초이레, 두이레, 세이레로 나누어 행한다. 삼칠 의례는 이레마다 삼신상을 차려 아이와 산모를 위하여 치성을 드리는 방식인데, 밀양 지역에서는 삼신상을 달리 ‘삼신할매상’, ‘삼시랑판’이라 칭하기도 한다. 삼신상에는 미역 또는 미역국, 쌀 또는 밥, 정화수를 올리고 주부가 비손한다. 신에게 비손할 때 말로 고하는 이령수는 개인마다 다양하지만, 주로 아이와 산모의 건강을 기원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상남면 연금리 이연마을에서 조사한 이령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삼신할매 마련하신 삼신자궁, 삼신할매 마련하신 마른 뼈 연한 뼈, 부정한 것 모두 다 막아서 아무 잘못 없이 잘 크게 키워 주시고, 잔병치레하지 않고 잘 크게 하여 주이소.”

삼신상을 차려 놓고 치성을 드린 후에는 삼신상에 올린 미역국과 밥은 산모가 먹고 정화수는 깨끗한 곳에 버린다. 삼칠 의례를 행하는 기간에는 타인이나 부정한 이의 출입을 금할 뿐만 아니라 산모는 물론이고 가족들도 초상집이나 혼사에 가지 않고 가축의 살생을 금하는 등 금기를 행한다. 삼칠 의례가 끝나면 출산 후에 대문 앞에 친 금줄을 걷는다. 금줄이 걷히면 가족들은 일상적인 생활로 돌아간다. 한편, 가정에 따라서는 아이의 백일이나 돌, 그리고 열 살 이전의 생일에도 삼신상을 차려, 아이가 건강하게 잘 자라도록 삼신에게 기원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