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701098 |
---|---|
한자 | 追感齋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대항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준형 |
건립 시기/일시 | 1947년![]()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1년 - 이장호 「추감재기」 저술 |
현 소재지 | 추감재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대항리
![]() |
원소재지 | 추감재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대항리 |
성격 | 재사|누정 |
양식 | 팔작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1칸 |
소유자 | 사유 |
관리자 | 재령이씨 종중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대항리에 있는 재사.
추감재(追感齋)는 이축(李丑)의 행적을 추모하고자 이축의 의관이 묻힌 무덤 아래에 1947년에 후손들이 지은 재숙소이다. 이축은 공민왕의 외손으로 국운이 끝나가는 것을 보고 밀양 소음리[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조음리]로 전거(奠居)한 사재령(司宰令) 이일선(李日善)의 여섯 아들 중 셋째이다. 일찍이 사마시에 급제하였지만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경상남도 밀양에 은둔하였다.
추감재는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대항리에 있다.
추감재는 1947년에 창건한 이래 지금까지 변형 없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추감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홑지붕 팔작지붕 건물이다.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두 개의 온동방을 두었고, 오른쪽에 1칸 규모의 마루를 두었다.
추감재에는 1981년에 이장호(李長浩)가 쓴 「추감재기(追感齋記)」가 걸려 있다. 2022년 현재 재령이씨 문중에서 이일선을 위시하여 여섯 아들의 시사를 지내고 있다.
추감재는 오늘날까지 이어진 선조에 대한 추모와 흠숭 작업의 일단을 엿보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