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701055 |
---|---|
한자 | 三慕亭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신곡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창규 |
건립 시기/일시 | 1973년![]() |
---|---|
현 소재지 | 삼모정 -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신곡리
![]() |
원소재지 | 삼모정 -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신곡리 |
성격 | 추모정사 |
양식 | 팔작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2칸 |
소유자 | 달성서씨 문중 |
관리자 | 달성서씨 문중 |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신곡리에 있는 재실.
삼모정(三慕亭)은 신곡리(薪谷里) 오곡마을(烏谷마을)에 세거하는 달성서씨(達城徐氏) 일문이 입향조 계암(溪巖) 서경록(徐景祿)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한 정사이다. 서경록은 달성군(達城君) 서진(徐晉)의 17세손으로, 조선 순조 연간에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道洞)에서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신곡리에 터를 잡고 살았으므로 후손들의 세장(世庄)이 되었다.
삼모정은 밀양시 상동면 신곡리에 있다.
안성수(安聖洙)가 쓴 「삼모정기(三慕亭記)」를 보면 달성군 서진의 24세손이자 감찰공(監察公) 서근중(徐近中)의 18세손이며 계암공(溪岩公) 서경록(徐景祿)의 7세손인 서정윤(徐正潤)이 달성서씨가 밀양시 상동면 신곡리에 산 지 200여 년인데 선조를 추모하고 일족을 모으고 빈객을 맞이할 장소가 없는 것을 한으로 여기고서, 일족들과 재물을 모아 집을 지었다고 하였다.
삼모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일자형 건물이다.
조상의 음덕을 기리고, 조상들의 훌륭한 업적과 지혜와 슬기를 계승하면서 숭모 정신을 후손들에게 교육하는 곳으로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