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701033 |
---|---|
한자 | 密城齋 |
영어공식명칭 | Milseongjae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중앙길 14[내일동 329-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류화정 |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재사.
밀성재는 밀성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忱)을 추모하기 위한 재사(齋舍)이다. 밀성대군은 신라 왕자 형제 8대군 중 맏이로서, 왕통을 계승하지 않고 밀성[경상남도 밀양 지역의 옛 지명]을 채읍(采邑)으로 하였다. 1978년 후손 박태곤이 쓴 「밀성재기(密城齋記)」에 따르면, 밀성대군의 무덤을 찾지 못하고 있다가 1978년 폭우로 인하여 밀양 영남루 옆 땅에 큰 구덩이가 드러나자 고을 사람들 및 자손들이 모두 박언침의 무덤이라고 확신하고, 구덩이 뒤에 단을 설치하여 봉향하게 되었다고 한다.
밀성재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 북쪽 추화산 아래에 있다.
밀성재는 밀성대군 박언침의 덕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1978년에 박언침의 제단이 바라보이는 곳인 삼한벽공도대장군(三韓壁控都大將軍) 박욱(朴郁)의 익성사(翊聖祠)의 재실인 추화재(推火齋)의 옛터에 창건하였다. 정당을 ‘밀성재’, 서사(西舍)를 ‘세루정(洗陋亭)’, 동사(東舍)를 ‘추화재’라 편액하였다.
밀성재는 전체 21칸이다. 밀성재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세루정이 있고, 오른쪽에는 추화재가 있다. 추화재는 5칸으로 되어 있다. 문은 3칸이다.
밀성재에서는 매년 3월 3일과 9월 9일에 제사를 거행한다.
밀성재는 다른 재실에 비하여 규모도 크고 웅장하며, 관리가 잘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