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700849 |
---|---|
한자 | 密陽淨水場 |
영어공식명칭 | Miryang Water Purific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다원길 93[다죽리 360-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다솜 |
준공 시기/일시 | 1997년 - 밀양정수장 착공 주민 공청회 개최 |
---|---|
준공 시기/일시 | 1998년![]() |
개관|개장 시기/일시 | 2001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9년 5월 - 밀양정수장 병물공장 착공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9년 8월 31일 - 밀양정수장 병물공장 준공식 개최 |
최초 설립지 | 밀양정수장 -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다원길 93[다죽리 360-2] |
현 소재지 | 밀양정수장 -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다원길 93[다죽리 360-2]![]() |
성격 | 정수장 |
면적 | 11,089㎡ |
전화 | 055-359-3275|055-359-3213[밀양정수장 견학 문의] |
홈페이지 | 한국수자원공사(https://www.kwater.or.kr) |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다죽리에 있는 정수장.
밀양정수장(密陽淨水場)은 밀양댐의 물을 정수하여 가정에 공급하는 시설이다.
밀양정수장은 밀양시 산외면 다죽리 다죽마을 뒤편 11,089㎡ 부지에 밀양댐관리단 사무실과 함께 건립되었다. 밀양정수장은 1998년에 착공하여 3년 후인 2001년 완공되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밀양정수장 착공 직전 해인 1997년에 주민 공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쳤다.
밀양정수장은 2001년에 완공되었다. 2009년에는 한국수자원공사 밀양댐 관리단이 밀양정수장 내에 비상시 식수 공급용으로 수돗물을 페트병에 담아 생산하는 대규모 병물공장을 건립하였다. 병물공장은 2009년 5월 착공하여, 2009년 8월 31일 준공식을 개최하였다. 병물공장 건립에 약 30억 원의 사업비가 들었으며, 밀양댐의 맑고 깨끗한 1등급 물을 하루에 500㎖는 7만 2000병, 1,800㎖는 1만 4000병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이다. 생산된 병물은 가뭄 등 각종 재해나 생활용수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에 비상 식수 등으로 보내질 예정이며, 판매용이 아니라 수요자가 직접 와서 가져가는 방식으로 무료로 공급하고 있다.
밀양정수장은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견학 코스는 ‘상황실[업무 소개]에서 착수정을 거쳐 약품실, 침전지, 여과지, 병물관리동’으로 구성된다. 견학 소요 시간은 40분 내외이며,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에 방문하여 관람할 수 있다.
밀양정수장의 정수처리 시설 용량은 7만㎥/d이고, 취수원은 밀양호이다. 정수처리 방식은 ‘분말활성탄-혼화-응집-침전-여과-소독’으로 6단계를 거친다. 밀양정수장에서 정수된 물은 경상남도 밀양시·창녕군에 공급되고 있다. 밀양정수장은 국내외 여행객들이 많이 찾는 경남의 유명한 관광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