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700452 |
---|---|
한자 | 密陽 朴陽春 閭表碑閣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송포로 194[후사포리 262-1] |
시대 | 조선/조선 전기,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영록 |
건립 시기/일시 | 1912년![]()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3년 1월 8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6월 29일 - 밀양 박양춘 여표비각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번호 삭제 |
현 소재지 | 밀양 박양춘 여표비각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송포로 194[후사포리 262-1]![]() |
성격 | 정려각 |
관련 인물 | 박양춘|김도화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95호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후사포리에 있는 조선시대 효자 박양춘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일제강점기 비각.
밀양 박양춘 여표비각(密陽朴陽春閭表碑閣)은 모헌 박양춘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정려각이다.
박양춘은 효행으로 호조참의에 제수된 박항(朴恒)의 아들이었다. 박양춘은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할머니와 어머니의 상을 한꺼번에 당하였는데, 피난을 떠나지 않고 남아서 빈소를 마련하였다. 왜장(倭將) 이시다 미츠나리[石田三成]가 박양춘의 모습에 감동하여 ‘출천지효(天出之孝)[하늘에서 내린 효자]’라는 글을 써 마을 입구에 정표하여 뒤따르는 왜병의 침략을 막아 주었다고 한다. 이후 마을에서 교훈으로 삼고자 정려각을 세웠다. 사후에 박양춘의 효성과 청렴함이 알려져 박항은 이조참의에 증직되었고, 정조 때 『삼강록(三綱錄)』에 실렸다.
정려각이 퇴락되자 1912년 손익현, 조세모, 이후성, 이병희 등의 유림들이 박양춘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박양춘의 출생지인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후사포리에 여표비를 세우고 비각을 건립하였다.
밀양 박양춘 여표비각은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후사포리 262-1 일원에 있다.
부좌는 거북이 형상을 한 귀부형(龜趺形)이며, 개석은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놓고 싸우는 이수형(螭首形)이다. 비각은 정면 3칸, 측면 1칸이며, 공포 유형은 익공이 세 개인 삼익공(三翼工)이다. 지붕은 겹처마 맞배지붕의 구조로 되어 있다. 비각의 둘레에 담장을 두르고 정면에 출입문을 두었다.
이후성, 이병희 등이 김도화에게 부탁하여 글을 지었으며, 글씨는 안종석이 새겼다. 비문에는 박양춘의 행적과 정려각을 세우게 된 경위를 밝히고 있다. 내용은 박양춘의 지극한 효성을 드러내는 일화를 전하고 있는데, ‘1582년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장례를 지낸 뒤 죽곡리 선영 아래 여막을 짓고 낮에는 묘소를 지키고, 밤에는 집으로 돌아와 할머니와 어머니를 극진히 모셨다. 어느 날 삼랑진읍 임천리 광탄에 이르자 폭우가 쏟아서 불어난 물로 건널 수가 없자, 하늘을 향하여 울부짖으니 강물이 갈라서 옷도 젖지 않고 건널 수 있었다.’라는 내용이다. 김도화의 문집인 『척암집(拓菴集)』에 ‘모헌박선생여표유허비명(慕軒朴先生閭表遺墟碑銘)’이 수록되어 있어 비문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밀양 박양춘 여표비각은 1993년 1월 8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95호로 지정되었다.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밀양 박양춘 여표비각은 모헌 박양춘의 행적을 알 수 있으며, 경상남도 밀양 지역 현창 사업의 변천을 알 수 있는 역사적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