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700267 |
---|---|
한자 | 三浪津橋 |
영어공식명칭 | Samrangjin Br.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 854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은숙 |
준공 시기/일시 | 2010년![]() |
---|---|
전구간 | 삼랑진교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삼랑진교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
![]() |
성격 | 교량 |
길이 | 773.7m |
차선 | 4차선 |
폭 | 18.5m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에 있는 교량.
삼랑진교(三浪津橋)는 국도 제58호선에 있는 낙동강 위를 지나는 다리이다.
삼랑진교가 지나는 삼랑진 지명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삼랑진교는 길이 773.7m, 교량폭 18.5m의 4차로로 이루어졌다. 교량의 경간수는 10개, 최대경간장은 100.1m, 상부구조 형식은 아치교, 하부구조 형식은 라멘식이며, 설계하중은 DB-24이다.
삼랑진교는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마사리와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를 연결하는 한편, 주민들의 교통 불편 해소 및 원활한 물류 수송을 위하여 건립되었다.
삼랑진교는 1997년 3월 총사업비 1260억 원을 투입하여 착공되었다. 2008년 7월 김해시 삼계동에서 생림면 봉림리 구간 9.26㎞가 준공되었고, 2010년 완공되었다.
삼랑진교의 안전 등급은 B등급이다. 삼랑진교가 개통되면서 물류 수송 차량 등이 하남읍과 진영읍 방면으로 20여㎞를 우회하거나 비싼 통행료를 내고 신대구부산고속도로로 통행하는 불편이 많이 해소되었다. 그러나 김해 지역과 송지사거리~삼랑진IC교 구간은 4차선으로 이미 확장되었으나, 삼랑진교~송지사거리 구간은 확장되지 않아 병목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2018년 삼랑진교에서 송지사거리 1.8㎞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되면서, 교통난 해소뿐 아니라, 삼랑진 일원의 산업단지, 농공단지 간 물류 수송이 원활해지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