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701270 |
---|---|
한자 | 密陽 校洞 近代 韓屋 |
이칭/별칭 | 밀양 교동 손병구 가옥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8[교동 779]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송혜영 |
건립 시기/일시 | 1937년![]()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5년 4월 15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3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6월 29일 - 밀양 교동 근대 한옥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국가등록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현 소재지 | 밀양 교동 근대 한옥 -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8[교동 779]![]() |
원소재지 | 밀양 교동 손병구 가옥 -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8[교동 779] |
성격 | 민가 |
양식 | 근대 한옥 |
소유자 | 손병구 |
관리자 | 손병구 |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한옥.
밀양 교동 근대 한옥(密陽校洞近代韓屋)은 1937년 경상남도 밀양의 대지주 손영돈(孫永暾)[1887~1954]이 둘째 아들 손정식(孫晶植)의 분가를 위하여 종가 동쪽 대지에 건립한 가옥이다.
밀양 교동 근대 한옥은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 779번지에 있다. 교동마을의 동북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골목을 사이에 두고 서쪽에는 큰집인 밀양 교동 손씨고가가 있다.
밀양 교동 근대 한옥은 안채 종도리 받침장여 밑면에서 발견된 ‘소화십이년정축이월이십육일(昭和十二年丁丑二月二十六日)’이라 쓴 묵서를 통하여 1937년 2월 26일 상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밀양 교동 근대 한옥은 동서로 긴 부지 위에 5동의 건물이 집약적으로 들어서 있다. 건물 규모에 비하여 마당 규모가 작고 건물 간의 이격 거리가 좁아 집약도가 높은 배치 형태이다. 안마당을 중심으로 한 집약적인 건물 배치와 안채 위주의 생활 공간 구성이 돋보인다.
밀양 교동 근대 한옥은 2005년 4월 15일 국가등록문화재 제151호로 지정되었고,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2013년 문화재 특성을 반영하여 밀양 교동 손병구 가옥에서 밀양 교동 근대 한옥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밀양 교동 근대 한옥은 건물 배치와 평면 구성 등 내·외부 공간 구성과 건축 구조, 재료 사용의 측면에서 근대 한옥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또한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공간 구성과 안채 중심의 주생활 및 제례·접대·수장 공간의 발달, 장식화 추구는 일제강점기 건축된 농촌 지역 한옥의 건축 경향과 주거 의식 등 근대 한옥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